2025년 현재, 해외직구는 더 쉬워졌지만 면세 한도와 통관 절차에 대한 이해는 필수입니다.
특히 달라진 세관 규정이나 개인통관고유부호 사용 여부에 따라 세금이 부과될 수 있으므로,
아래 내용을 꼭 확인하세요.
1. 해외직구 면세 한도 (2025년 기준)
- 총 구매 금액 150달러 이하는 면세 (미국발 제품은 200달러 이하 면세)
- 운임, 보험료 포함 금액 기준
- 의약품, 건강기능식품, 화장품, 식품 등은 품목별 수량 제한 있음
2. 개인통관고유부호란?
해외직구 시 개인의 주민등록번호를 대체하는 고유 식별 번호로, 모든 해외 구매 물품은 개인통관부호를 입력해야 통관이 원활하게 진행됩니다.
👉 발급처: 관세청 유니패스 바로가기
3. 과세 기준
- 150달러(미국은 200달러) 초과 시 관세 + 부가세 부과
- 전자제품, 의류, 신발 등 품목별로 관세율 상이
- 과세 대상이라면, 배송 전 세금 납부 안내 문자 수신
4. 통관 불가 물품 (주의!)
- 마약류, 총포·도검류, 원본 음란물 등 불법 물품
- 지정 수량 초과 건강보조식품 (예: 비타민 6병 초과)
- 생과일·육류 등 검역 대상 품목
5. 통관 진행 절차
- 해외 쇼핑몰에서 주문
- 배송업체 또는 통관사에서 개인통관고유부호 요청
- 세관 신고 및 통관심사
- 과세 대상이면 세금 납부 후 배송 완료
6. 꿀팁: 세금 피하는 방법
- 미국 이외 국가에서 주문 시 150달러 이하로 나눠서 구매
- 건강기능식품은 1회 최대 6병, 화장품은 12개 이하로
- 운송비 포함 최종 결제금액 기준 확인
이런 분들께 추천합니다
- 해외 직구를 처음 해보는 소비자
- 건강식품·화장품을 자주 구매하는 직장인
- 관세나 통관 지연 없이 직구를 즐기고 싶은 분
Tags
정보